내 또래가 다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내 음악 취향은 록을 기반으로 힙합이 섞여져 있다. 메탈이 끝물을 타던 90년대 초부터 팝송에 빠져들어서 … More
Tag: 뉴욕
2010 뉴욕 아시안영화제 프로그래머 인터뷰
옛날 옛적 뉴욕, 다섯 명의 홍콩 영화 마니아가 있었다. 홍콩 영화를 보여주던 극장이 문을 닫자 그들은 ‘서브웨이 시네마’란 조직을 만들고 1000달러씩 출자해 ‘두기봉 … More
Blur와 중년팬의 각오
2003년 [Think Tank] 앨범이 블러의 마지막 작품이었다. 데이먼 알반은 기억도 잘 안 나는 프로젝트들을 작업하며 생존 소식을 알렸지만 예전만큼의 인기를 … More
[weiv] 몇 살까지 뮤직 페스티벌에 갈 수 있을까?
다른 나라의 청춘들이 진흙을 뒤집어 써가며 ‘록페스티벌’이라는 것에 미쳐 있을 때, 한반도의 심드렁한 청춘들은 학교 축제에나 찾아오는 가수들을 향해 일괄적인 … More
[weiv] 러프 트레이드에서 얻은 깨달음
뉴욕에 도착한 이후 지금까지, 가장 당혹스러운 음악 트렌드는 바이닐의 부활이다. 20세기 한국에서 ‘롱 플레잉(Long Playing)’의 앞자를 따 ‘엘피(LP)’라 부르던 그 … More
[weiv] 공연장에서 떠들지 좀 마
플레이밍 립스(Flaming Lips)의 투어 공연 중 언젠가 음악광인 C모 씨가 ‘라이브 공연을 그다지 즐기지 않는다’고 말을 해 놀랐던 적이 있다. … More
[weiv] 아케이드 파이어와 역사적 사명
아케이드 파이어의 뉴욕 부쉬윅 공연 ⓒ NPR Music 미국 땅을 ‘즈려밟는’ 음악팬들이라면 누구나 공연에 대한 원대한 꿈을 품는다. 평생을 꿈꿔왔던 … More
[weiv] 나는 어떻게 피닉스 공연 예매에 성공했나
구멍 난 구조가 인상적인 바클레이즈 센터 미국 땅에 와서 좋은 점은 수많은 공연들을 볼 기회가 있다는 것이고, 안 좋은 점은 … More
줄서기 극기 훈련, 크로넛 먹기
‘빨리빨리’ 정신으로 유명한 한국인으로서 뉴욕에서 사는데 가장 큰 번거로움이 있다면 ‘줄서기’를 꼽겠다. 조금이라도 싼 슈퍼마켓(대표적으로 Trade Joe’s)에서 물건을 사려면 쇼핑 시간보다 훨씬 긴 계산대 줄을 감내해야하고, 거의 예약을 받지 않는 화제의 일본 라면 가게에서 무언가를 먹으려 하면 1시간을 기다릴 각오를 해야 한다. <주토피아>에서 나무늘보들이 직원으로 등장하는 도로교통국 DMV를 갈 일이 생긴다면 대기 시간이 예측불허이기 때문에 하루 휴가를 내는 게 당연하게 여겨진다. “내일 DMV 가야해요.” “저런. 행운을 빌어요.” 뭐, 이런 연민의 대화가 오가는 게 다반사다. ‘쉐이크색’ 버거를 꼭 먹어야 하는 뉴욕 관광객이면 모르겠으나, 거주민들에게 ‘줄서기’는 되도록이면 피하고 싶은 일상사다. 특히 밥 빨리 먹기로 유명한 한국인이라면 1시간 기다려서 20분 만에 밥 먹고 나오는 상황이 너무도 시간낭비로 여겨지는 것이다.(너 말이다! 쉐이크색!) 오랜만에 만난 친구가 소호에 있는, 딱히 특별한 건 없는데 이상하게 인기는 많은 쿠바 식당 ‘잭스 와이프 프레다 Jack’s Wife Freda’에서 만나자고 했을 때 잠깐 멈칫했다. ‘간만에 줄을 서 볼까’하는 자세로 도착했지만 호스트가 당연하다는 듯이 ‘40분은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을 때 후회가 솟구쳤다. 그러나 쿨한 뉴욕커처럼 당연하다는 듯이 ‘오케이’라 답해야만 했다. 서로의 안부를 묻다 보니 시간이 훌훌 지나가긴 했지만 대기자들의 줄이 쉽게 줄어들지 않았다. 대기 리스트도 없이 대기자의 이름과 얼굴을 외워서 호명하는 호스트의 능력에 감탄하고있을 때, 한 소녀가 와서 물었다. “뉴욕의 식당 줄서기 경험에 대해 조사 중인데 도와 줄래요? 학교 과제를 하는 중이거든요.” 몸이 배배 꼬일 만큼 지루한 줄서기를 하다 보면 말을 걸어주는 사람이 반갑기 그지없다. 게다가 즉석 인터뷰라니, 오히려 이쪽에서 절이라도 하고 싶은 기분이다. “가장 오래 줄을 섰던 경험을 말해주세요.” 어머나! 질문을 듣자 마자 나는 약간 시큰둥한 어조에, 줄서기 기록이라면 누구라도 이길 수 있을 거란 으쓱거림을 섞어 대답했다. “크로넛 줄이요.” 게임 끝. 크로넛 줄을 이길 수 있는 줄서기는 없다고 99퍼센트 확신한다. 소녀는 눈을 반짝였다. “우와. 몇 시간걸렸어요? 세 시간? 네 시간?” 나는 도넛 하나 먹겠다고 새벽부터 일어나 네 시간을 기다린 사람이다. 존경받아 마땅하다! … More
플러싱과 나와 중국 요리
뉴욕 맨하탄에서 7호선을 타고 동쪽 마지막 역에 내리면 ‘플러싱 Flushing’이라는 동네가 나온다. 퀸즈 동쪽이자 한국인 주요 거주 지역으로 한국 슈퍼마켓과 식당들이 즐비하다. 때문에 뉴욕에 사는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알고 있는 동네다. 맨하탄 32번가 한인타운이 번쩍이는 자동차의 외관이라면 퀸즈 플러싱은 그 자동차를 움직이는엔진과 같다. 최근엔 뉴욕 옆동네인 뉴저지의 한인타운이 더 기세를 떨치고 있지만 어쨌든 뉴욕 사람들에게 ‘정통’한인타운이란 플러싱을 뜻한다. 그리고 한국을 떠나 뉴욕을 막 도착한 여행객이라면 맨하탄이든 퀸즈든 한인타운을 보고 일종의 문화충격을 경험한다. 좋게 말해 10년은 뒤떨어져 있는 듯한 구닥다리 풍경에 난데없이 창피한감정이 앞선다. “외국인들이 보게 될 한국의 이미지가 그렇게 세련되지 못하다니 정말 놀랐다니까. 내가 그 일부로 보일까봐 두려웠어”라며 지인들은 맞장구를 친다. ‘한국=나’로 여겨지는 동일시가 얼마나 심한 지 깨닫게 되는순간이기도 하다.(한국 때문에 왜 내가 창피해하지?) 시간이 흘러 적응이 되면 뉴욕 안에서 자기들만의 커뮤니티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해온 이민자들의 노력에 진심으로 존경을 표하게 된다. 그들 덕분에 한국 음식이 그리울때 장을 볼 수 있고, 편하게 들를 수 있는 식당과 상점이 있는 게 아닌가. 뉴욕에 와서 몇 년 간 플러싱에서 살았다. 맨하탄행 전철 및 고속 기차가 다니는 이 동네는 교통 조건에 비해 집세가 싼 편이다. 학교와 일터가 퀸즈였으므로 플러싱을 거주지로 택하는 게 자연스러웠다. 봄에 쑥국이나 냉이국이먹고 싶으면 집 앞 슈퍼마켓에서 재료를 사올 수 있는 편리한 환경이었다. 그러나 통신원 일 때문에 가야하는 장소는 보통 맨하탄이거나 브루클린이었다. 인연을 맺은 친구들도 맨하탄 아니면 브루클린에서 살았다. 한번은 브루클린에 사는 친구의 파티에 간 적이 있었다. 퀸즈와 브루클린 사이에 불편한 교통을 감수하고 1시간 반 넘게 걸려 파티에 갔다. 힙한 한국 사람들이 핫한 트렌드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있는 그 곳에서 누군가 나에게 집이 어디냐고 물었다. “플러싱에 살아요”라고 대답하니 더 이상 대화가 진행되지 않았다. 한국 음식을 먹고 싶어 어디어디한국 식당을 가봤는데 굉장히 멀더라는 정도의 반응이 있긴 했다. 서울 사는 아이들의 서울 위주 대화에 지방에서온 사람이 꼈을 때 이런 기분일까 싶었다. 의 재스민이 어디서 왔냐는 물음에 “뉴욕”하고 자랑스럽게 “파크 애비뉴”를 덧붙였을 때 심정과 정반대의 기분일 것이다. 브루클린 사람들은 심지어 ‘뉴욕’도 생략하고 아마 ‘브루클린’이라고 대답하겠지. 한인타운을 마주하며 ‘한국=나’로 당혹해했던 나와 달리, 브루클린 거주민들은‘브루클린=나’로 여기며 국가대표 힙스터인 양 자랑스러워할까? … More